프로이드의 정신역동 이론 (4) – 정신병리학적 발달과 정신역동 이론의 평가

프로이드의 정신병리학적 발달과 정신역동이론의 평가

정신병리학적 발달 정신역동 이론의 평가

정신병리학적 발달 (Psychopathological Development)

심리적 장애

프로이드는 심리적 장애 (disturbances)는 다양한 원천들로부터 생겨날 수 있다고 이론화했습니다.

한 가지 원천은 한 개인의 자아 (ego)가 직접적으로 대처할 수 없는 그래서 억압과 같은 방어 기제를 사용해서 해결을 시도하려는 트라우마적 경험들입니다.

Breuer와 프로이드는 심리적인 문제로 인한 오른쪽 팔의 마비 (a psychosomatic paralysis of her right arm)가 생긴 Anna O. 라고 불리운 여성의 예시를 제공합니다.

Anna O의 케이스

Anna O.는 어느날 그녀가 꾸벅꾸벅 졸고있는 동안 커다란 검정 뱀이 그녀의 아버지를 공격하고 있는 악몽을 꾸었습니다.

그리고 그 때 그녀는 아버지 (그녀의 아버지는 상당히 아펐습니다)의 침대 곁에 앉아 있었습니다 .

그녀가 두려움에 잠을 깼고, 그녀의 아버지를 깨울까하는 두려움 때문에 이 악몽에 관한 생각들과 감정들을 섣부르게 억압했습니다.

그녀가 잠이 든 동안에, 그녀의 오른쪽 팔은 의자 등받이에 얹혀져 있다가 감각이 없어졌습니다 (“numb”).

프로이드는 그 때 억압된 재료 (material)와 연결된 에너지가 그녀의 팔을 생리학적으로 지배했고, 그 결과로 나타난 것이 심리학적 마비였다고 이론화했습니다.

해결되지 않은 심리학적 사건들에 더해서, 프로이드는 내부의 무의식적인 과정들이 또한 심리적 장애를 야기시킬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다양한 가능성있는 원천들이 있습니다.

해결되지 않은 일렉트라 혹은 오이디푸스 컴플렉스가 기형 초자아 (a malformed superego)에 이르게 할 수 있고, 그럼으로 한 개인이 여러가지 성적 문제 (불감증, 난잡한 성행위, 성적 기능의 장애, 지나친 성적 공상, 그리고 성적인 내용을 담은 악몽)들을 가지도록 이르게 할 수 있습니다.

해결되지 않은 내적 갈등 (예를 들어, 무의식적인 자신의 부모에 대한 좋아함과 미워함)은 적대적이고 공격적인 행동과 같은 행동 문제 (behavioral problems)를 그리고 짜증을 내는 것과 같은 감정적 문제 (emotional problems)를 야기하는 또 다른 원천일 수 있습니다.

발달의 초기 단계에 고착 (fixation)은 주로 이 후에 나타나는 단계에 발달을 방해하는 또 다른 원천이고 그 개인이 그러한 바람직하지 않은 성격 특성 (불결함과 고집 같은)을 나타내도록 이르게 합니다.

이전에 지시했던 것처럼, 불안 (anxiety)의 주요 원천은 성적인 좌절 (sexual frustration)로써 여겨졌습니다.

프로이드는 불안이 성적 본능이 표현을 추구하지만 자아 (ego)에 의해서 차단되어질 때 생기는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만약 그 본능이 방어 기제를 통해서 전환되어지지 않았다면, 성적 본능과 연결된 그 에너지는 불안으로 변형되어집니다.

정신병리학적 발달 중에서 불안(Anxiety)의 주요 원천
불안장애 (Anxiety)

강박관념과 충동

강박관념 (obsession: 당신의 마음 속에 반복적으로 생기는 하나의 노래와 같은 되풀이되는 생각 (a recurring thoughts such as a song repeatedly on your mind))과 충동 (compulsion: 보도의 갈라진 틈 하나하나를 밟아보고 싶은 충동 같은 것 (such as an urge to step on every crack of a sidewalk))은 한 개인이 불안감을 주는 무의식적인 재료와 연결된 에너지를 해결하려는 메커니즘 (방어기제)인 것으로써 여겨집니다.

무의식적인 과정들은 모든 종류의 정신병 (mental disorders)의 원인으로써 여겨집니다.

이러한 무의식적인 과정들은 거의 항상, 특별히 어린 시절에 트라우마 경험들과 연관이 있습니다.

정신병리학적 발달에서 중요한 어린 시절의 트라우마에 대한 설명.
트라우마 (Trauma in childhood)

정신역동이론의 평가 (Evaluation of Psychodynamic Theory)

프로이드는 사실상 가족이 인간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맞춘 최초의 인물이었습니다.

그는 또한 정신 건강을 가장 일찍, 가장 긍정적으로 지지한 인물 중 한 명이었습니다.

그는 지난 세기의 산물이었고, 그의 많은 생각들은 심각한 현대 비판의 대상이 되었습니다.

첫 번째 비평

먼저, 연구가 그의 이론적 구성의 존재 혹은 그의 치료적 방법들의 효율성을 지지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부족함의 부분은 그의 개념들의 추상적인 특성 때문일 것입니다.

만약 불가능한 것이 아니라면, 초자아 (superego)의 정확한 본성과 위치를 정확히 찾아내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입니다.

두 번째 비평

두 번째 비평은 그의 아이디어들의 많은 부분 중에 명확성의 부족을 수반합니다.

예를 들어, 비록 프로이드가 소년의 오이디푸스 컴플렉스의 해결은 초자아의 형성이라는 결과를 가져 온다고 주장했을지라도, 그는 결코 어떻게 이것이 생겨나는지 명확하게 설명하지 못했습니다.

또한 그는 소녀들이 일렉트라 컴플렉스를 해결하는 방법도 명확히 설명하지 못했습니다.

세 번째 비평

일렉트라 컴플렉스는 우리가 세 번째 프로이드 이론의 비평에 이르게 합니다.

여성들은 결코 정말로 이론 안에서 평등적 혹은 긍정적 상태에 도달하지 못합니다.

본질적으로, 여성들은 남성의 성기가 없는 것에 대해 끊임없는 슬픔을 느끼고, 남성들에 대해 영원한 열등감을 느끼고, 자신들의 일렉트라 컴플렉스를 해결할 수 없는 영원한 불확실한 상태의 운명에 처하는 불리한 입장에 처하게 됩니다.

프로이드의 정신역동이론에 대한 비평
프로이드의 정신역동이론
Translate »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