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상 관계 이론 (1)

대상 관계 이론 (Object Relations Theory)

대상 관계 이론 개요

  • 정신분석 심리학에 뿌리를 둔 대상 관계 이론은 유년기 환경에서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관계를 통해서 자신의 정신을 발달시키는 과정을 말합니다.
  • 대상 관계 이론은 엄마와 아기가 어떤 관계를 맺었느냐에 따라서 그 아기가 성인이 되었을 때 그 성격의 형성을 결정한다고 주장합니다.
  • 유아기 동안에 아이의 가족과의 관계 (경험)가 성인이 되어서 다른 사람들과 관계하는 방식과 그들의 삶에서 일어나는 여러 상황들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합니다.
  • 예를 들어서, 유아기에 방임이나 학대를 경험한 성인은 그들의 과거로부터 방임하거나 학대했던 부모를 상기시키는 다른 사람들로부터 비슷한 행동을 기대하게 됩니다.
  • 대상 관계 이론은 개인이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 개인이 그러한 상호작용을 내면화하는 과정, 그리고 이러한 내면화된 대상 관계가 심리적 발달에서 차지하는 거대한 역할에 초점을 맞춥니다.
  • 대상 관계(object relationship)라는 용어는 다른 사람과의 “진짜 (real)” 관계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의 내면적 정신적 표현과 자아에 대한 내부적 이미지를 언급하는 것입니다.
  • ▶ 주제 (Subject) = 본인 (the self)
  • ▶ 대상 (Object) = 자아 자신이 인지하고, 경험하고, 욕망하고, 두려워하고, 거부하는 자아 밖의 것
대상 관계 이론 (Object Relations Theory)
대상 관계 이론 (Object Relations Theory)

영국의 대상 관계 이론가들 (British Object Relations Theorists)

(1) 멜라니 클라인 (Melanie Klein)

Unconscious Phantasy

  • Melanie Klein은 ‘fantasy’와 구별하기 위해 일부러 철자 f를 ph로 바꾸었습니다.
  • Phantasy는 세상을 향해 바깥으로 나아가려는 일종의 정신 생활 (psychic life)을 말합니다.
  • 신생아의 새롭게 나타나는 정신 생활에서 unconscious phantasy는 신생아가 현실과 접촉할 때 환경에 의해 수정되어집니다.
  • Unconscious phantasy의 역할은 사고력의 발달에 필수적인 것입니다.
  • 적절한 돌봄을 받으면, 유아는 unconscious phantasy에 의해 기저를 이루는 증가하는 경험의 인식을 견딜 수 있고, 그녀의 이론에 중심인 “위치 (positions)”라는 연속적인 발달 성취의 달성에 이르게 됩니다.

▶ 위치 (The positions)

  • Klein은 “위치 (positions)”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는데, 이것은 내부 상태, 세상을 인식하는 방법, 일생에 걸쳐서 경험되어 질수 있고 또 앞으로 경험할 수 있는 감정의 방법으로 묘사됩니다.
  • Paranoid-Schizoid Position과 Depressive Position이라고 불리우는 두 가지 종류의 위치가 있습니다.
  • Unconscious phantasy에 의해 지배되는 Klein 이론의 위치 (position)는 자아 (Ego)와 대상 관계의 정상적인 발달의 단계이며, 각각은 자신의 독특한 방어와 조직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 Paranoid-schizoid position
  • 이것은 부분 대상 (Part objects) 관계로 특징지어집니다.
  • 부분 대상 phantasy에서 발생하는 분열 기능입니다.
  • 이 발달 단계에서 경험은 모든 좋은 것과 모든 나쁜 것으로만 인식되어질 수 있습니다.
  • 부분 대상으로서, 그것은 전체적이고 자율적인 타인이 아닌 경험하는 자아에 의해 식별되는 기능입니다.
  • 예를 들어서, 배고픈 아기는 자신에게 먹이를 주는 좋은 젖을 원합니다. 그리고, 만약 그 젖이 나타난다면, 그것은 좋은 젖입니다. 하지만, 젖이 나타나지 않는다면, 배고프고 지금 좌절하고 있는 아기는, 고통 속에서 나쁘고 환각적인 젖에 대한 구두 공격 (oral aggression)에 의해 지배되는 파괴적인 phantasies을 가지게 됩니다. 또한, 나쁜 젖을 파괴하는 것을 상상하는 아기는 적어도 depressive position을 얻기 전까지는 좋은 젖을 섭취하는 것과 같은 아기가 아니며, depressive position을 얻는 시점에 좋은 것과 나쁜 것이 동시에 똑같은 사람에게서 용인될 수 있고, 그 후엔 후회와 배상의 능력이 생깁니다.
* Depressive position
  • Klein은 depressive position을 평생 동안 계속해서 성숙해 가는 중요한 발전의 이정표로 보았습니다.
  • 초기 단계를 특징짓는 분리 (splitting) 및 부분 대상 관계는 좌절하는 다른 사람이 또한 만족하는 사람이라는 것을 인식하는 능력에 의해 계승됩니다.
  • 이 포지에서, 아기는 전체로서 다른 사람들을 경험할 수 있고, 이것은 초기 단계부터 대상 관계를 급격하게 변화시킵니다.
  • Depressive position 이전에 좋은 대상은 어떤 식이든 나쁜 대상과 같은 것은 아닙니다. 하나의 대상이 극과 극 (좋은 것 혹은 나쁜 것)을 다 가진다고 인식할 수 있는 것은 depressive position에만 가능합니다.
  • Depressive position의 불안 특징은 파괴되어질까 봐 두려워하던 것에서 다른 사람을 파괴할까 봐 두려워하는 것으로 바뀌게 됩니다.
  • 사실상, 이제부터 아기는 양면적으로 사랑하는 사람을 해치고 쫓아내는 능력을 깨닫습니다.

(2) 로날드 페어베른 (Ronald Fairbairn)

  • 로날드 페어베른은 아이가 선의로 가득찬 엄마에 절대적으로 의존한다는 것을 관찰하면서 자신의 이론을 시작합니다.
  • 어머니의 역할을 하는 대상이 안전감과 따뜻함을 제공할 때, 아이의 선천적인 ‘중심 자아 (central ego)’는 아이 엄마의 좁은 궤도를 넘어서 외부 환경과의 접촉을 확장할 수 있는 새로운 경험을 할 수 있게 됩니다.
  • 이것은 차별화 (differentiation)과정의 시작, 혹은 부모로부터의 분리의 시작이며, 이것은 결국 새롭고 독특한 개인으로 귀결됩니다.
  • 어머니의 역할을 하는 대상이 계속해서 정서적인 따뜻함과 지지, 그리고 안전감을 제공하는 한, 아이는 어린 시절 내내 계속해서 성장할 것입니다.
  • 하지만, 만약 부모가 이러한 요인을 일관성 있게 제공하지 못하면, 아이의 발육이 중단되고 그는 퇴보하여 그의 어머니와 구별되지 않은 채 (독립하지 못하고 계속해서 의존하게 됨)로 남게 됩니다.

▶ 중심 자아 (Central Ego), 리비도 자아 (Libidinal Ego), 반 리비도 자아 (Anti Libdinal Ego)

  • 페어베른은 자아 자체 (ego)를 부분 (parts)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보았습니다.
  • 중심 자아 (Central Ego)는 주로 의식적이고 자아 기능의 책임을 맡습니다. 또한, 중심 자아는 부모가 지지하고 양육할 때 이상적인 대상과 관련이 있습니다.
  • 주로 무의식적인 리비도 자아 (Libidinal Ego)는 사랑하는 자아의 부분을 언급하며, 다른 사람들과의 좋고 긍정적인 경험들과 상호작용하면서 성장하게 됩니다.
  • 반 리비도 자아 (Anti Libidinal Ego)는 나쁜 대상 경험을 축적하는 역할을 합니다.
  • 즉, 반 리비도 자아는 거절하는 대상과 관련이 있을 뿐이며, 이러한 구조들은 부모의 무관심, 방치 또는 노골적인 학대뿐만 아니라 아이의 두려움과 분노를 담고 있습니다.
Translate »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