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인 관계 이론 (Interpersonal Theory)
대인 관계 이론 – Herbert “Harry” Stack Sullivan
- 설리반 (Herbert “Harry” Stack Sullivan)은 개인들이 상호 얽혀있는 관계의 네트워크에 기초해서 한 개인을 이해하려고 노력했습니다.
- 즉, 그는 대인 관계 (interpersonal relationships)에 기초해서 정신 의학 이론을 발달시켰고, 대인 관계 속의 문화적인 힘이 주로 정신병의 원인이라고 믿었습니다.
- 대인관계 이론은 사람들의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 즉 중요한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가 그들의 안정감, 자아감, 그리고 그들의 행동에 동기를 부여하는 역동성을 결정한다는 믿음에 기초해서 만들어졌습니다.
- 대인관계 이론에서, 기본적인 단위는 초기 발달 단계에 나타나는 엄마와 아이의 한 쌍입니다.
1. 대인 관계 이론의 여섯 가지 발달 단계
1) 첫번째 단계: 유아기 (First Stage: Infancy)
- 아이는 대인관계 영역으로부터 분리되어질 수 없습니다.
- 아이는 음식, 따뜻함, 그리고 편안함을 위해 “엄마의 역할을 하는 사람”에게 의존합니다.
- 정신치료 (psychotherapy)의 목적은 단절된 것을 통합하는 것입니다.
2) 두번째 단계: 어린 시절 (Second Stage: Childhood)
- 언어를 사용하기 시작합니다.
- 합의상 확인 (Consensual validation)을 합니다.
3) 세번째 단계: 청소년 시절 (Third Stage: The Juvenile era)
- 또래와의 관계가 발달합니다.
4) 네번째 단계: 사춘기 이전 시절 (Fourth Stage: Preadolescence)
- 동성 집단과의 친밀감이 발달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 친구 (Chum): 두명의 상호관계하는 개인들 모두의 개인적인 성장에 대한 합의상 확인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해주는 소중한 대인관계를 말합니다.
5) 다섯번째 단계: 청소년기 시절 (Fifth Stage: Adolescence)
- 청소년들은 “성욕 (lust)” 감정을 느끼고 그들의 주된 관심사가 동성간의 친밀감에서 생식기의 만족으로 바뀝니다.
6) 여섯번째 단계: 청소년 후기 시절 (Sixth Stage: Late Adolescence)
- 각각의 개인은 환상에 빠져 상대 이성을 좋아하거나 싫어하는 상상 속의 이성을 자기 안에 지니고 있습니다.
- 이러한 것을 “Eidetic” 사람들이라고 부르며, 이것은 introjects 혹은 내면화된 대상 (internalized objects)을 말합니다.
2. 자아 체계 (Self System)
- 불안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경험 혹은 보안 대책을 모으는 체계를 말합니다.
- Good Me: 사람들이 자신에 대해 좋아하는 것과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과 기꺼이 공유하는 것을 나타냅니다.
- Bad Me: 사람들이 그들 자신에 대해 좋아하지 않는 것과 공유하는 것을 꺼리는 것을 나타냅니다. 불편함, 불쾌감, 그리고 불안감을 가지는 부정적인 피드백에 대응하여 발달합니다. 또한, Bad Me는 불안감을 만듭니다.
- Not Me: 자아의 측면들이 너무 불안을 불러 일으켜서 그 결과 그 개인은 자아들이 자신의 부분들로 여겨지지 않게 됩니다. Not Me는 공포감을 포함하며, 자아의 이 부분은 주로 무의식적인 것입니다.
3. 결론
- 설리반은 특히 대인관계 분야에서 언어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 건강이란 대인관계의 상황을 말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했습니다.
- 설리번은 모든 심리적 장애는 대인관계의 기원을 가지고 있으며, 환자의 사회적 환경을 참고해야만 이해할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 한 개인의 행동을 위한 욕망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두 개의 만족이 포함되어져야만 합니다; 만족 (수면, 섹스, 배고픔)과 안전(그 사람이 속해 있는 참고 그룹의 사회적 규범에 부합되는 것)이 그 두 가지 만족입니다.
- 만약 위의 두 가지 “자아 체계 (self-system)”의 욕망이 방해받게 되면, 정신 질환이 발생한다고 믿었습니다.
- 설리반의 이론에서 핵심은 자존감에 대한 불안입니다.
- 환자는 무엇이 불안감을 일으키는지, 즉 자존감 유지에 위협을 주는 것에 대해서 탐색하는 것을 저항합니다. 반면에, 프로이드의 관점에서, 핵심은 무의식적이고, 승인받지 못하고, 본능적인 바램이 의식화되는 것에 대한 불안입니다.
- 대인관계 이론의 관점에서, 불안은 자존감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으로 방어됩니다. 즉, 방어의 목적이 자존감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 Kohut (자기 심리학)의 용어 “자기 (self)”는 전체적이고 독특한 성격을 의미하며, 설리번 (Interpersonal Theory)의 경우, 자기 계통 (self-system)의 “자기 (self)”는 불안으로부터 방어하는 것을 의미합니다.